본문 바로가기

소리 Sori/[기획] 소리정음

오늘도 나는 교회에 갔다

오늘도 나는 교회에 갔다


  지난해 한국교회 내부에서 충격적인 소식이 잇따라 터져 나왔습니다. 기독교 외부에서 지탄의 대상이 된 것에 이어 속에서 곪았던 오랜 상처들이 드러난 것이겠죠.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교회를 떠났다는 이야기가 공동체 내에서 더 이상 낯선 소식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필립 얀시의 책 제목과 같이 교회는 그리스도인의 사랑이자 고민입니다. 과연 학사들은 어떤 고민을 안고 교회생활을 하고 있을까요. 다양한 필자에게 현재의 고민을 나눠주십사 부탁했는데, 필진 전원이 익명으로 글을 싣기를 원했습니다. 현실에서 부딪히는 벽의 높이와 고민이 지속되는 골의 깊이를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었습니다. 

  이번호에서는 우리의 현실을 마주하고자 합니다. 다음호에서는 교회에 대한 논의를 지속하며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소리]의 시도를 통해 교회에 대한 고민의 실마리를 얻으시면 좋겠습니다.   

  

  <교회, 나의 고민 나의 사랑> 

(1) 교회의 진정한 유산(遺産)을 고민하며

(2) 오늘도 나는 교회에 갔다 

(3) ‘‘그 교회’는 가지 않지만 ‘이 교회’는 간다 

(4) 공동체성을 회복한 작은 교회




[소리]에서 교회와 관련한 원고를 청탁받고는 무심한 듯 대수롭지 않게 대답을 했다. 하지만 무덤덤한 응답 속에 많은 고민과 갈등이 담겨 있었다. 대체 교회에 대해서 글을 써달라니. 아름답고 즐거운 이야기들보다는 누군가가 인상을 찌푸릴 만한, 불편할 이야기들이 흘러나갈 것 같았다. 교회에 대해 많은 비판이 쏟아지고 그런 이야기를 듣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러워진 괴로운 시대이다. 하지만 그래도 교회는 다른 무엇보다도 선하고 아름다워야 한다는, 내 마음 한편에 자리 잡은 관념 때문에도 복잡한 마음이었다. 여하튼 나는 왜인지 모르게 그러마고 대답하고는 전화를 끊었다.



나는 스무 살에, 대학을 입학해서야 복음이라는 것을 들어볼 수 있었다. IVF를 통해서 영접을 하고, 리더를 하고, 졸업을 한 ‘새벗’ 출신 IVF 학사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다. 가족들 중에서는 나 말고 교회를 다니는 사람이 없다. 어린 시절부터 신앙이라는 것을 듣거나 배우지 않았기 때문에 누군가 믿음이나 복음이라는 말만 꺼내도 굉장히 이질감을 느꼈던 기억이 있다.



그러나 기독교 인구 비율이 30% 이상이라는 우리나라에서 자라며 어찌 교회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지 못했겠는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들어보지 못했을지언정 교회에 대해서는 여기저기 이야기가 많고도 많았다. 



어릴 때 어렴풋이 TV 뉴스에서 사이비 종교 신자들의 모습을 본 적이 있다. 그들은 이 땅이 곧 망하여 그들만의 새 시대가 열리길 기다리고 있었다. 또 종교의 이름으로 많은 돈을 벌고 있는 복음 기업 사장님들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고, 소위 학교에서 잘 나간다는 일진들이 교회에서도 아주 잘 나가는 일등 학생이라는 소리도 들어봤다. 아이가 아프다는데 기도하면 병이 나을 수 있으니 병원에는 가지 말라는 사람의 이야기나, 우리나라 국회의원의 절반 이상이 기독교인이라는 이야기도 들었다. 복을 받고 싶은 사람들은 교회로 오라고, 병도 나을 수 있고 돈이 없다면 부자가 될 수 있고, 당신이 겪고 있는 모든 문제가 말끔히 해결될 것이라며 교회에 초청하는 인사도 많이 들었다. 이런 비상식적인 이야기가 비상식적이긴 하나 어디서나 들을 수 있는 상식적인 이야기가 되고서야, 교회를 접할 수 없었던 나에게도 상식적인 이야기가 되어버려서 나 스스로 경험하지는 못했지만 이미 경험적으로 알게 된 것 같은 기독교에 대한 사실들이 세상에 가득했다. 내게 교회는 어떻게 다가왔을까? 교회에 열심히 다니는 사람들이 어떻게 보였을까?



어린 시절 교회에 다니지 않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교회에 와보라는 요청을 받았을 것이다. 친구, 혹은 친구의 가족, 이모나 삼촌 등. 나 또한 주변에서 그런 요청이 많았고,  다음 날 아침이 밝아 오는 시간을 기다리는 것이 두려워졌을 때 처음으로 마음을 털어놓았던 친구를 따라 교회에 나가보았다. 그러나 그때의 교회는 나에게 복음을 들려주지 못했고  나의 불신을 바로잡아주지 못해 나는 얼마 지나지 않아 발길을 끊게 되었다.




그러나 나는 운이 좋았다. 은혜란 인간의 죄와 불신을 넘어서는 것이어서, 하나님은 나에게 IVF 공동체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들려주셨다. 예수 그리스도를 인정할 것인가, 포장을 벗겨낸 나의 벌거벗은 모습을 인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내게 엄청난 고민과 갈등을 불러왔다. 당시 겨울 수련회를 보내며 나는 많은 사람들의 도움과 기도 속에서 그런 고민과 갈등을 겨우 겨우 넘어서고 있었다. 하지만 그 힘겨운 시간을 넘겨내고 있는 그때에 찾아온 더 큰 갈등은, 예수님을 주로 고백한다는 것은 그분을 주로 고백하는 교회에 나가야만 한다는 사실이었다. 오, 맙소사!



처음 교회에 적응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은 사실 단순했다. 바로 일요일에도 사회생활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교회에 참석하는 것은 예배를 드리는 것뿐 아니라 누군가와 계속 관계를 맺어야 하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었다. 또 교회 생활을 계속하면 교회에서 해야 할 일들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주일이면 아침에 나가 밤이 되어서야 돌아오니, 그럼 이제 내게 남은 휴일이라곤 토요일, 단 하루가 되었다. 그마저도 토요일에 모임이 잡히거나 다른 일이 생기면 휴일은 없다! 쉬는 날이 없다니! 이상했다. 일주일 중 하루는 안식하는 날이라고 하였는데, 교회를 다니면서 안식하는 날이 없어지는 것 같았다. 월화수목금을 열심히 살고, 토요일도 일요일도 열심히 살다 보면 다시 월화수목금이 되었다. 쉼 없는 하루하루가 이어졌다. 안식일이란 우리가 하나님께 집중하고 하나님 안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기억하고 그 안에 푹 잠기는 시간이라고 배웠는데, 그러한 시간을 갖기 위해서는 틈틈이 애쓰고 지혜를 짜야만 얻을 수 있었다.



교회생활을 하다보면, 어떤 모임을 계속 참여해야 하거나, 행사나 공연 등의 일정이 잡힌다. 성경에도 있지 않은가, 모이기에 힘쓰라고. 이 일로 모이고 저 일로 모이고, 기본적으로 모이는 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게 된다. 삶을 나누기도 하고 식사를 하기도 하고. 또 모임도 모임이지만 어찌하다 보면 춤과 노래에서 시작하여 영화 한편을 제작하게 되거나 연극이나 뮤지컬 등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아마추어들이 모인 곳이지만 결과물들을 보면 프로가 만들어낸 것 같은 작품도 꽤 생긴다. 그러나 한 작품에 들어가는 땀과 노력은 결코 작지가 않다. 한 가지의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선 많은 모임, 연습, 시간과 재정이 사용된다. 그러나 회사원, 학생 등 사회에서 각각 한 가지 이상의 역할을 해야 하는 사람들이 그런 시간과 에너지를 내기란 참 어렵다. 결국 주중 저녁에도 모이고, 주말에도 모이고, 계속해서 시간을 내야만 한다. 그러다보면 어느 순간부터 내 학교, 직장에서 사람을 만나는 시간보다 교회 사람들을 만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난다. 사회생활과 교회생활이 분리되기 시작하고, 교회생활이 깊어질수록 사회에서 사람에게 쏟는 에너지도, 일에 쏟는 시간도 점점 교회생활에 쏟는 시간과 에너지에 의해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교회 공동체에 깊이 들어갈수록 사회에서는 멀어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고민이 생기기도 했다.




교회는 세상 속의 빛으로 부름 받았다. 세상 속의 빛이란 무엇일까? 세상과 멀리 떨어져 세상과는 다른 공동체를 세워서 세상이 부러워하게 만드는 것일까? 그렇다고 하기에는 우리 사회에서 교회가 너무 빛을 잃었고, 세상은 지금의 교회에서 무언가를 배우려고 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또한 예수 그리스도는 이미 비천하고 남루한 자들 사이에 오셔서 그 안에서 살았다. 세상 속의 빛이란, 예수 그리스도와 같이 세상 안에서 빛을 비추어야 하는 것 같다. 그리스도인들은 세상 안에서도, 사회 안에서도, 각자의 삶의 자리에서도 역할을 다하고 최선을 다하고 자신의 본분을 다해야 하지 않을까.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을 다 충족시키기에 나는 큰 어려움을 느낀다.



교회를 다니면서 평소에는 잘 쓰지 않는 단어들을 참 많이 듣게 된다. ‘사랑’, ‘정의’, ‘공동체’... 이런 말들은 교회에 다니기 전에는 낯간지러워 사용하기가 참 어려웠던 용어들이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에게 성경을 통해 사랑과 공의, 공동체를 말씀하여 주셨다. 처음에는 너무 익숙하지 않았던 용어들이었는데 다년간의 교회 생활을 하면서 나는 익숙하지 않았던 용어들을 사용하는 데 전혀 어색하지 않은 지경에 이르렀다. 사랑, 공평과 공의, 공동체, 하나님의 나라는 나의 가슴을 뛰게 했다. 그것은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기대가 넘치는 것이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사람들은 모두 이러한 꿈을 꾸고, 고백하고, 하나님의 손과 발이 되어 이것을 실천하려고 한다. 



그러나 어찌된 일인지 우리 사회에서 공의와 공평, 평화와 사랑, 공동체성을 발견하기는 쉽지가 않다. 세상에 교회가 차고 넘치는데도 불구하고 과부와 고아가 울고, 가난한 이들의 마음이 썩어 문드러지는 일들이 일어난다. 아니, 멀리 볼 필요도 없다. 당장 교회에서 부딪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 거기서 발생하는 이기적인 마음, 내려놓을 수 없는 나의 욕심... 사랑도, 공의도, 공동체도 실제 우리의 모습 속에서는 빛이 바랜다.



말은 무게가 없어도 실은 세상에서 가장 무겁다. 그리고 교회는 말에서 시작되는 종교다. 하나님의 말씀. 우리가 매일 인용하고 사용하는 그 말씀은 사실 엄청난 무게가 담겨있는 말이지만, 우리는 그 말의 무게는 잊어버린 채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하나님의 이름으로 당신을 사랑합니다.” 교회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이 말을 위해 예수 그리스도는 십자가에 못이 박히셨는데, 나는 그 말을 교회에서 하루에도 몇 번씩 들을 수 있다. (하지만 교회 안에서도 십자가에 못 박히는 것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다 사랑하지 못하는 우리를 발견할 때, 정의롭지 못한 우리의 모습이 드러날 때, 우리는 말한다. 우리도 인간이고, 죄인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나는 지금도 누군가 하나님의 이름으로 당신을 사랑한다는 말을 할 때, 그 말이 쉬이 다가오지 않는다. 한 공동체로 함께 살아 가자라는 말을 쉽게 붙들 수가 없다. 그것은 그렇게 쉽게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닌데... 그것은 참으로 무거운 것인데...



교회에 대해서 많은 고민들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주일이 되어 나는 오늘 교회에 참석하고 왔다. 이런 저런 생각이 들지만, 그렇다고 나 혼자서 신앙생활을 할 수는 없으니... 오늘도 그저 나는 교회에 갔다.















소리 no.212=2014. 02+03 

교회, 나의 고민 나의 사랑